잡기술
-
싱글톤(Singleton) 패턴잡기술 2021. 2. 20. 02:21
내가 회사에서 개발할 때 가장 많이 쓰는 패턴 중 하나다. 자꾸 이런 잡기술만 늘어가는 것 같다... 하여튼 너무나도 유용하게 잘 쓰고 있는 패턴인데, 인스턴스를 하나만 가져서 공유할 데이터가 필요할 때 자주쓴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는데, 내가 쓰는 코드만 적으려 한다. 간단한 예로, 카카오톡의 구조를 내마음대로 짜봤다. MyAccount : 내 계정의 정보를 가지고있는 객체. 내 이름, 이메일과 같은 정보들을 가지고 있다. Profile : 카톡 친구 화면에서 맨 위에 보이는 내 프로필 Chatting : 채팅 화면 표시해주는 객체 Setting : 환경설정 관련 객체 이렇게 있다고 가정해본다. Profile, Chatting, Setting에서 모두 내 계정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Profile엔 ..
-
단위 테스트 작성잡기술 2020. 12. 2. 20:55
현재 내가 맡은 프로그램은 WPF 를 이용해 구현되었는데, 기존 소스는 굉장히 UI와 Model간 의존도가 컸다. 무슨 말이냐 하면 단순히 버튼 하나를 새로 만드는 과정에도 수많은 절차의 과정이 여기저기 묶여있어, 확장하기 굉장히 어려웠다. 그래서 UI와 Model 코드 의존성을 줄여나가는 과정이 필요했다. 여기에 도움이 됐던게 단위 테스트였다. Visual Studio에선 단위 테스트 기능을 잘 제공해주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작성할 수 있었는데, 단위 테스트를 사용함으로서 코드를 분리해 나갈 수 있게 됐다. TDD(Test-Driven Development) 코드를 의식의 흐름대로 짜다보면, 난 A 함수가 잘 동작하는지만 테스트 해보고 싶지만 해당 테스트를 위해선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해서 로그인 절차를..
-
개발 협업 도구잡기술 2020. 11. 26. 00:08
입사한지 1년 3개월이란 시간이 흘렀다. 돌이켜 보자면 긴 시간이었고, 이뤄낸걸 보자니 짧은 시간인 것 처럼 느껴진다. 내가 가르쳐줄만한 건 없지만, 벌써 후배도 생기고 (항상 신경써주고 고마운 사람들이다) 여러 일들이 있었다. 하지만 여자친구는 없었다. 직장은 판교에 위치해 있는데, 출근하기전 이곳에 내자리가 있다는것 자체로 기뻤다. 하지만 직방을 통해 가격을 알아보며 내 집은 없다는걸 깨달았다. 그래서 현재 야탑부근에 방을 구해 살고있다. 야탑에서 판교로 가는 교통편이 잘되어있어 이곳에 거처를 마련했다. 하여튼 입사하고 내가 개인적으로 느낀 점들을 두서없이 일기처럼 적으려고 한다. 프로그램 빌드과정 신입으로 처음 익혔던것은, Jenkins 였다. 회사에서 파는 제품(프로그램)이 있을 것이다. 우리가 ..